티스토리 뷰



    반응형

    남방큰돌고래는 큰돌고래속에 속하는 돌고래 종의 하나입니다

     

    1998년까지는 큰돌고래속(병코돌고래속) 종으로 큰돌고래(T. truncatus)가 유일한 것으로 간주해왔으나,

     

    1998년에 남방큰돌고래를 별도의 종으로 인정했습니다.

     

    남방큰돌고래는 일반적으로 큰돌고래(커먼큰돌고래)보다 작고, 부리는 더 길고 균형이 잡혀 있으며,

     

    배 쪽과 아래 쪽에 반점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큰돌고래가 각각의 턱에 21~24개의 이빨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남방큰돌고래는 23~29개로 더 많은 이빨을 갖고 있다.

     

    IUCN은 남방큰돌고래를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 멸종 위기에 가까운 돌고래로 등재하고 있습니다.

     

    학명 Tursiops aduncus 한글명 남방큰돌고래 영명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남방큰돌고래(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의 모습(출처-네이버)
    남방큰돌고래(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의 모습(출처-네이버)

     

    분류

    • 계: 동물계
    • 문: 척삭동물문
    • 강: 포유강
    • 목: 우제목/경우제목
    • 아목: 경하마형아목
    • 하목: 고래하목
    • 소목: 이빨고래소목
    • 과: 참돌고래과
    • 속: 큰돌고래속
    • 종: 남방큰돌고래

     

    멸종위기등급

    • 정보부족(DD):: 직간접적 정보 부족으로 평가 불가

     

    수명

    남방큰돌고래의 수명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0~30년 정도입니다. 일부 개체는 최대 40년까지 살기도 합니다. 돌고래의 수명은 서식지의 환경, 먹이 자원, 질병, 천적, 인간 활동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다음은 남방큰돌고래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입니다

    • 자연 환경: 서식지의 해양 오염 정도와 먹이 자원의 풍부함은 돌고래의 건강과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깨끗한 환경에서는 수명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인간 활동: 어업 활동, 해양 쓰레기, 선박과의 충돌 등 인간 활동은 돌고래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플라스틱 오염이나 낚시 도구에 얽히는 것이 큰 위협입니다.
    • 포식자와 질병: 상어와 같은 천적의 존재는 돌고래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질병과 기생충도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양 오염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되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연 상태에서의 돌고래들은 인간 활동이 적은 해역에서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

     

    서식지

    남방큰돌고래는 주로 인도-태평양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얕은 연안 지역과 대륙붕 주변을 선호합니다. 이 돌고래는 해안 근처의 따뜻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1. 지리적 분포

    • 인도양: 동아프리카 해안, 아라비아해, 페르시아만, 인도 남부 해안 등 인도양 지역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 서태평양: 동남아시아(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 해안, 필리핀, 일본 남부, 중국 해역,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 홍해: 홍해 주변 해안에서도 발견되며, 이 지역의 따뜻한 수온이 서식에 적합합니다.

    2. 서식 환경

    • 연안 지역: 남방큰돌고래는 주로 얕은 해안가를 선호하며, 해양의 깊이보다 해안선과 가까운 곳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특히 산호초, 모래톱, 석호, 해초지 등 생태계가 다양한 곳에서 서식합니다.
    • 대륙붕 지역: 돌고래들은 주로 수심 10~50m 사이의 얕은 해역에 서식하지만, 가끔 더 깊은 바다로 나가기도 합니다.
    • 하구와 만: 하구, 만, 석호 등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은 이들이 먹이를 구하기 좋고, 따뜻한 물로 인해 편안한 서식지가 됩니다.

    3. 수온

    • 남방큰돌고래는 따뜻한 열대 및 아열대 수역에서 서식하는 것을 선호하며, 일반적으로 수온이 약 20도 이상인 곳에서 활동합니다. 차가운 해역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4. 이동성

    • 남방큰돌고래는 이동성이 비교적 적은 편이며, 서식지 내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먹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단기간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방큰돌고래는 이러한 다양한 해역에서 서식하면서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일원으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외형

    남방큰돌고래는 날렵하고 유선형의 몸체를 가진 해양 포유류로, 크기와 외형이 일반적인 큰돌고래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특징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1. 크기

    • 몸길이: 성체 남방큰돌고래의 길이는 약 2~2.7m입니다.
    • 몸무게: 성체는 약 150~230kg 정도로,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 더 작고 가벼운 경향이 있습니다.

    2. 체색

    • 등쪽: 등은 짙은 회색에서 짙은 청회색까지 다양한 색을 띠며, 머리에서 등지느러미까지 부분이 가장 어둡습니다.
    • 복부: 배 부분은 흰색 또는 밝은 회색을 띠며, 특히 배와 등 사이의 경계가 뚜렷한 편입니다.
    • 반점: 남방큰돌고래는 나이가 들수록 복부와 옆구리 부분에 작은 검은 반점들이 생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반점은 나이가 든 개체일수록 더욱 뚜렷해지며, 이 점이 다른 큰돌고래 종과의 구별 요소입니다.

    3. 주둥이

    • 남방큰돌고래의 주둥이는 가늘고 길쭉하며, 일반 큰돌고래에 비해 약간 더 긴 편입니다. 주둥이의 끝은 둥글게 말려 있으며, 그 위에는 뚜렷한 입술선이 있습니다.
    • 이 긴 주둥이는 주로 물고기나 갑각류 등을 사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4. 등지느러미

    • 남방큰돌고래는 날카로운 곡선형의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등지느러미는 몸통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주로 돌고래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합니다.

    5. 측면 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

    • 가슴지느러미는 작고 둥글며, 유선형의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편입니다. 이 지느러미는 방향 전환과 속도 조절에 사용됩니다.

    6. 꼬리지느러미

    • 남방큰돌고래의 꼬리지느러미는 길고 넓으며, 중앙에서 약간 갈라진 형태입니다. 꼬리지느러미는 돌고래가 헤엄칠 때 주요한 추진력을 제공합니다.

    7. 눈과 시각

    • 남방큰돌고래는 크고 둥근 눈을 가지고 있어 시각이 매우 뛰어나며, 물속에서도 잘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색을 인식하는 능력은 제한적입니다.

    8. 청력과 초음파

    • 돌고래는 주로 음파를 이용해 주변 환경을 탐지하고 소통하며, 남방큰돌고래도 뛰어난 청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돌고래는 물속에서의 음파 반향(에코로케이션)을 통해 먹이를 찾아내고 방향을 잡습니다.

    남방큰돌고래는 이러한 외형적인 특징 덕분에 바다에서 매우 민첩하게 움직이며, 높은 지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징

    남방큰돌고래는 지능이 높고 사회성이 뛰어난 해양 포유류로, 여러 흥미로운 생태적, 행동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회성

    • 무리 생활: 남방큰돌고래는 사회적 동물로, 보통 5~15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에서 생활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100마리 이상의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합니다. 무리 내에서 서로 협력하고 소통하며, 매우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집니다.
    • 사회적 유대: 이들은 가족 중심의 사회를 형성하며, 무리 내에서 서로를 돌보거나 협력하여 사냥하는 등 높은 사회적 유대감을 보여줍니다. 어린 돌고래는 어미와 긴 시간 함께 지내며 생존 기술을 배웁니다.

    2. 지능

    • 남방큰돌고래는 매우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 해결 능력, 도구 사용, 놀이 행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그 지능을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호주 샤크 베이(Shark Bay) 지역의 남방큰돌고래는 해면동물을 코에 씌워 사냥할 때 바닥의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도구 사용이 관찰된 바 있습니다.
    • 또한 복잡한 소리몸짓으로 의사소통을 하며, 서로 이름에 해당하는 특정 휘파람 소리를 사용해 개체를 구분합니다.

    3. 에코로케이션(초음파 반향)

    • 남방큰돌고래는 에코로케이션 능력을 통해 물속에서 방향을 잡고 먹이를 찾습니다. 이는 고주파 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소리로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능력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돌고래는 어두운 물속에서도 물고기나 갑각류 등의 먹이를 효율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4. 식성 및 사냥 방법

    • 남방큰돌고래는 육식성 동물로, 주로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습니다. 이들은 무리로 협력하여 먹이를 사냥하며, 물고기를 몰아넣어 쉽게 잡거나, 바닥에서 먹이를 쫓아내는 등 다양한 사냥 전략을 사용합니다.
    • 일부 남방큰돌고래는 먹이를 몰아 물 위로 튀게 한 후 이를 공중에서 잡는 다이나믹한 사냥 방법을 보이기도 합니다.

    5. 고유의 발성 패턴

    • 남방큰돌고래는 다양한 소리 패턴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합니다. 휘파람, 딸깍거리는 소리, 울음소리 등이 그 예입니다. 특히 무리 내 개체들은 서로를 구별하는 개인 고유의 휘파람 소리를 가집니다.
    • 이 휘파람 소리는 개체마다 독특하여, 무리 내에서 서로를 식별하거나 부를 때 사용됩니다.

    6. 번식과 양육

    • 암컷은 보통 10~12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새끼는 출생 시 약 1m 정도의 길이이며, 태어나자마자 어미의 도움을 받아 물 위로 올라가 숨을 쉽니다.
    • 출생 후 새끼는 약 18~24개월 동안 어미의 젖을 먹으며, 어미와 매우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유지합니다. 새끼는 어미로부터 사냥 기술, 생존 방법 등을 배웁니다.

    7. 서식지 적응력

    • 남방큰돌고래는 연안 지역에 주로 서식하지만,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 다양한 해양 환경에서 살 수 있습니다. 얕은 해안가, 산호초, 하구 등에서 자주 발견되며, 물속의 지형에 따라 적응하여 생활합니다.
    • 이들은 보통 수온이 따뜻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차가운 해역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습니다.

    8. 놀이 행동

    • 돌고래는 매우 장난기 많은 동물로, 다른 돌고래와 함께 물속에서 서로 쫓아다니거나, 물 밖으로 뛰어오르는 점프물구나무서기 같은 행동을 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놀이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때로는 물체(예: 해초나 조개껍질)를 가지고 놀이를 하거나, 물고기를 던지며 사냥 연습을 하는 모습도 관찰됩니다.

    9. 위협 요소

    • 자연적 포식자로는 상어가 있으며, 특히 범고래는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천적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가장 큰 위협은 인간 활동으로, 어망에 걸리거나 해양 오염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 또한 해양 오염, 서식지 파괴, 그리고 관광 산업과 같은 인간 활동이 돌고래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특징 덕분에 남방큰돌고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시에 인간과의 상호작용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종입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등

     

     

    [포유류] 점박이물범(Spotted seal) 천연기념물 제331호 분류,멸종위기등급,수명,외형,서식지,특징

    학명은 그리스어로 물범, 포체(phoce), 라르가(larga)에서 유래했으며, 시베리아 퉁구스족의 물범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일반 이름은 물범의 특징인 어둡고 불규칙한 모양의 반점에서 유래했습

    hjkim464.com

     

     

    [포유류] 해달(Sea Otter) 분류,멸종위기등급,수명,서식지,외형,특징

    해달(海獺)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입니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hjkim464.com

    반응형